은행나무는 지구상에서 살고 있는 현존하는 식물 중 가장 오래된 식물이라고 합니다. 또 나무를 심어 열매를 맺기까지 수십년이 걸려서 원산지인 중국에서는 아버지가 심은 나무가 손자의 대에 가서 결실한다고하여 공손수(公孫樹)라고도 불립니다. 은행은 종자가 은(銀)처럼 희고 열매는 살구(杏: 살구나무 행)모양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열매는 냄새나는 외종피에 싸여있고 속에는 배유가 들어 있습니다. 은행을 백과라고도 하고, 잎의 모양이 오리의 발과 비슷하다 하여 압각수라고도 합니다. 은행은 독특한 맛이 좋아 신선로 같은 고급 음식이나 안주상에 올리는 귀한 식품으로 대접 받아왔습니다. 당질, 지방질, 단백질이 주성분이며, 카로틴, 비타민 A, B1, B2, C, 철분, 인, 칼슘, 칼륨 등이 함유되어 있어 건..
꾸지뽕 효능, 열매 먹는법, 부작용 알아보자 꾸지뽕은 뿌리, 잎등 버릴께 없는 산약초로 몸에 좋은 효능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4대 약초에 포함될 만큼 약효가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꾸지뽕은 "뽕나무를 담은 나무로 굳이 따지면 뽕나무다"라고 해서 꾸지뽕으로 불리우게 되었습니다.꾸지봉은 잎 모양이 둥글둥글하고 끝은 뾰족한 모양을 가지고 줄기에는 날카로운 가시가 있어서 열매를 채취할 때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6월경 꾸지뽕 꽃이 피고 가을이 되면 열매가 빨갛게 열리게 됩니다. 꾸지뽕은 동의보감에도 소개되어 있는데요. "따뜻한 성질을 가지며 맛이 달고 독은 없고 여성들의 질환에 좋은 약효를 가진다"고 되어 있습니다. 꾸지뽕에는 비타민 B, C, 각종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고 플라보노이드계 성분도 함유되..
동충하초는 겨울에는 벌레속에 있다가 여름에는 풀이 되어 나온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곤충의 몸에서 발생하는 버섯을 말합니다. 벌, 매미, 나비, 번데기, 딱정벌레 등 거의 모든 종류의 곤충에서 볼 수 있으며, 곤충의 몸에 버섯균이 기생해 자라면서 버섯으로 변합니다. 버섯의 균이 곤충의 체내로 침입하면 균은 곤충의 양분을 흡수하여 균사가 만들어지고, 결국 곤충의 몸 전체가 하얀색의 균사로 가득 채워지게 되는데, 이때 곤충의 몸은 전혀 부패하지 않고 원형 그대로 보존됩니다. 동충하초는 인삼, 녹용과 함께 동양에서 불로장생의 3대 비약으로 꼽히며, 중국의 진시황이나 양귀비가 즐겨 먹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동충하초는 현재 전세계적으로 약 400여종이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70여종의 ..
6~7월 꽃이 피는 석류는 9-10월 되면 익기 시작하면서 붉은색으로 변화됩니다. 석류는 꽃이 아름다우며 열매가 익은 후 터지는 모습도 아름다워서 관상용으로도 많은 분들이 재배를 하는데요, 우리나라에 도입된지는 약 500년 전 쯤으로 추정하고있습니다. 석류는 여성을 위한 선물로 섭취시 호르몬 균형을 도와주고 , 생리통, 생리불순 완환에도 효과가 있는 식품인데요. 또한고혈압, 동맥경화 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석류 줄기, 뿌리의 껍질에는 휘발성 알카로이드인 페레치에린, 아소페레치에린, 메칠페레치에린 등이 함유되어있고 , 열매 껍질에는 탄닌, 점액질, 고미질 등이 있으며 꽃에는 퓨니신이, 씨에는 퓨니신산의 글리세라이드가 함유되어 있는데요. 오늘은 여성들에게 특히 좋은 효능을 가진 석류 ..
원산지가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북부아프리카가 원산지인 밤은 율자라고도 부르는데요. 지름 2.5~4cm정도로 잘 익은 밤은 짙은 갈색을 띕니다. 우리나라의 밤은 서양밤과 달리 육질이 좋고 단맛이 강해서 우수한 종으로 꼽히는데요. 8월 하순에서 10월 중순 수확하는데 주로 중.남부지방에서 생산합니다. 밤에는 각종 영양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탄수화물, 단백질, 기타지방, 칼슘, 비타민A, B, C등이 풍부하며 , 생밤의 비타민C 성분이 알코올 산화를 도와주는 효과가 있어서 술안주로도 적당합니다. 오늘은 밤 효능, 삶는 방법, 보관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밤 1개 칼로리는 평균 20kcal정도 되는데요 밤 100g에는 약 162kcal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밤 칼로리는 생밤과 삶았을..
옛말에 "가을전어구이 냄새에 집나간 며느리도 돌아온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가을전어의 맛은 고소한 맛을 느끼게 해줍니다. 전어는 다른 계절보다 특히 가을에 지방함량이 높아서 더 고소한 맛을 느낄 수 있으며 맛도 좋게 영양도 풍부합니다. 따라서 가을에는 꼭 가을전어를 즐겨 보는 것도 계절의 변화를 느끼게 해주는 한 가지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전어의 특징을 알아볼까요. - 전어 이름 유래는 그 맛이 좋아서 돈 생각하지 않고 먹을정도 이기 때문에 전어(錢魚)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 전어를 직접 살때에는 비늘이 많이 붙어 있으며, 은백색의 배와, 등부분은 초록색을 띄는 전어가 신선한 것입니다. - 전어요리로는 많이 들 드시는 전어회, 전어소금구이, 전어무침, 전어튀김, 전어회덮밥, 전어찜 등 다양한 전어..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